본문 바로가기
심혈관질환

🧬 심혈관질환, 가족력 있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by geono100 2025. 4. 27.

“우리 가족 중 심장병 환자가 있다면, 나도 예외는 아닐 수 있습니다.”


🫀 가족력 있는 심혈관질환, 저는 피할 수 없었습니다

저는 얼마 전 급성심근경색으로 갑작스럽게 병원 응급실에 실려갔고,
스텐트 시술을 받은 심혈관질환자입니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저희 아버지도 50대 초반 심근경색으로
시술을 받으셨던 분이었고, 외삼촌 역시 고혈압협심증으로
수차례 입원하신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는 ‘설마 나까지?’라고 생각했지만,
가족력은 유전적, 생활환경적 위험요인이라는 걸
제 몸으로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혈압 관련 약을 먹지 않고, 질병이 없는 것에 대해 은근 자만심도 있었습니다.

바보 같은 행동이었지요.

 

🧬 심혈관질환, 가족력 있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 가족력 있는 분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1. 유전보다 더 중요한 건 공통된 생활 습관

심혈관질환은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가족이 함께 공유하는 식습관과 생활방식이 더 크게 작용합니다.

  • 고지방, 고염식 위주의 식단
  • 스트레스 많은 환경
  • 운동 부족한 가족 문화
  • 흡연 또는 수면 부족 등 생활 리듬

➡ 같은 식탁, 같은 생활패턴은 같은 결과를 만듭니다.


2. 가족력 있으면, 평균보다 2~3배 더 위험

심근경색, 협심증, 고혈압, 뇌졸중 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정상인보다 2~3배 이상 발병 위험이 높습니다.

  • 특히 부모나 형제자매 중 55세 이전에 발병한 사례가 있다면
    더 강력한 위험 신호입니다.
  • 여성보다 남성의 경우 유전적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도 있습니다.

➡ 저 역시 아버지 발병 시기를 기준으로 본다면 고위험군이었습니다.


3. 건강검진, 남들보다 10년 먼저 시작하라

가족력이 있다면, 일반적인 건강검진 시점보다 더 빨리
그리고 더 자세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심전도(EKG), 심장초음파, 경동맥 초음파
  •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LDL, HDL 수치
  • 고혈압과 당뇨 관련 수치도 중요 지표입니다

➡ 저는 40대 초반에 검사를 시작했지만, 이제 생각하면
30대 중반부터 시작했어야 했습니다.


4. 가족이 함께 관리하는 심장 건강 습관

가족력은 가족 전체의 건강이 바뀌면 줄일 수 있습니다.

  • 가족 식단 개선 (짠 음식 줄이고 채소 위주로 조리)
  • 함께 걷기 운동 실천 (주말 산책 또는 퇴근 후 걷기)
  • 흡연하는 가족 금연 도전
  • 가족 건강검진 데이 만들기 (매년 정기 점검)

➡ 저희 집은 지금 '심장 건강 프로젝트' 중입니다.
엄마도 식단, 아들도 운동, 저도 약 복용 철저하게 실천 중입니다.


5. 증상 없다고 방심하지 마세요 (제가 그랬습니다)

저는 통증도 없고 체력도 괜찮은 편이라 걱정이 없었지만,
급성심근경색은 무증상으로 찾아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 가슴이 갑갑하거나 소화불량 같은 느낌
  • 왼쪽 어깨, 턱까지 통증이 퍼짐
  • 이유 없이 땀이 나고 숨이 가쁨
  • 자주 피로하고 잠에서 깨는 일이 많아짐

➡ 이상 증상이 반복되면 반드시 병원에 가보셔야 합니다.
저도 그렇게 병원에 갔다가 긴급 시술까지 받게 됐습니다.


🧾 가족력 체크리스트

항목 아니오
부모, 형제 중 심혈관질환자가 있나요?
가족 중 55세 이전 발병 사례가 있나요?
가족이 고지혈증, 고혈압 약을 복용하나요?
식습관이 고염/고지방 위주인가요?
가족 중 흡연자가 있나요?
스트레스 많은 환경에 함께 있나요?

➡ 3개 이상 '예'라면 고위험군입니다. 지금부터 건강관리를 시작하세요.


📌 요약 정리

  • 가족력은 유전 + 생활 습관의 복합 영향
  • 가족 중 조기 발병 사례 있으면 고위험군
  • 정기 건강검진은 10년 먼저 시작
  • 가족 전체가 바꾸는 식단과 운동 습관 중요
  • 증상 없어도 조기 진단 필수

🔗 추천 포스트

  • [심혈관질환 위험도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심근경색 전조증상, 저는 이렇게 느꼈습니다]
  • [스텐트 시술 후 관리, 이것만은 꼭 지키세요]